대한민국소개

자연친화적인 한옥!

작성자 정보

  • 관리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e681e652c5c8dbd51ee2d3d7643234e_1678775822_3278.jpg
 

한옥의 멋과 매력에 빠진 외국인들이 많다고 하는데요.

한옥은 조선시대뿐 아니라 일제강점기와 근대화 과정을 모두 겪으면서 진화해왔습니다. 

지금부터 대한민국의 문화가치가 있는 한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옥'은 한국의 전통가옥 입니다. 

한옥에는 현대과학으로도 입증되는 온돌마루가 있습니다.

한옥을 소개하기 전에 온돌을 간단히 알려드릴께요.

온돌은 '따뜻한 돌'이라는 뜻으로 구들이라고도 하는데요.

구들은 '구운 돌'의 약자라고 하네요.

온돌은 아궁이에서 불을 지펴서 방바닥을 데우는 난방 방식이며, 집안 전체에 온기를 전달하는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훌륭한 기술인거 같습니다.

그리고, 마루는 바닥과 땅을 파서 고래(아궁이에서 땐 불이 타서 열과 연기가 나가는 방 구들장 밑으로 나 있는 길)를 넣어 넙적한 돌판을 놓은 형태 인데요.

바닥을 지면으로부터 높게 떨어트려 고온다습한 계절에도 습기를 피하고 통풍이 가능하게 만들며,추위를 피할수 있게 만든 결합된 시스템입니다.

현대에는 온돌을 이용하여 만든 찜질방이 있습니다.


대부분 사람들이 한옥을 기와집이라 생각하지만, 볏짚과 황토로 지은 초가집도 한옥으로 포함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현대의 대한민국에서는 양옥에 밀려 한옥이 많이 줄어들었지만, 불교 사찰, 민속건축을 주제로한 테마파크, 한옥마을 등으로 계속 이어 나가고 있습니다.

'한옥’은 개항 이후 서양의 근대건축양식이 대한민국에 들어오면서 새로이 만들어진 신조어라고 합니다. 

이것은 외국인들이 보기에  한반도에 사는 한민족이 전통적으로 살아온 집들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조선 전기까지만 해도 2층 가옥이 많았다고 하는데요.

그런데 소빙하기 때문에 온돌이 대량으로 보급된 후에는 난방에 약하고 온돌설치가 어려운 2층 가옥보다 1층 가옥이 더 선호되어 2층 이상의 가옥들은 차츰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한옥은 나무와 돌이나 흙 등으로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었는데요.

그것은 기둥, 문, 마루 등은 나무를 사용하였고, 벽은 짚과 흙을 섞어 흙벽으로 만들었으며, 창은 한국 전통 방식인 나무로 만든 한지를 발랐습니다.

요즘에는 전통한옥보다 개량한옥을 많이 짓고 있다고 합니다.

개량한옥은 전통적인 한옥의 장점을 살리면서, 현대적으로 화장실과 주방을 만들고 있습니다.

또, 한옥은 단열에 취약하므로 난방으로 보일러를 배치하였으며, 보안을 위해 시스템 창호를 적용하였고, 공간을 넓게 사용하기 위해 지하층이나 이층이 있는 한옥도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에도 한옥마을이 있어 외국인들이 많이 찾는다고 합니다.




※ 한옥 지붕의 특징


한옥은 조선시대 신분제도나 지역에 따라 지붕의 형태가 다르게 보이기도 하였는데, 왕족이나 양반들은 기와지붕을 사용하여 호화롭게 보이는 특징입니다. 



※ 지붕의 형태로 나누는 기와집의 종류 


· 우진각집

마주보는 지붕 전후와 좌우, 네 면 모두가 경사지붕으로 이루어져 있는 형태로 멋을 내기보다 실용적인 면을 중시한 형태로 격식을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민가에 많이 나타납니다.


· 팔작집

우진각집 양쪽 측면 지붕 윗부분을 수직으로 잘라내어 합각을 형성하여 화려한 느낌을 주는 형태로 궁궐, 사찰, 살림집에서는 안채나 사랑채 등에서 볼 수 있는 격조 있는 모양입니다. 

그리고 한옥하면 떠오르는 전형적인 지붕 모양입니다.


· 맞배집

마주보는 두 개의 지붕면이 있고 측면에는 지붕이 없는 대신, 박공이라는 삼각형의 벽이 있는 가장 간단한 형태로 곳간이나 사당 건물에서 많이 보입니다.



※ 한옥의 장점

· 황토와 짚의 구성이 사람의 건강을 이롭게해준다.

· 기단이 높아 땅의 습기와 동결현상을 피할 수 있다.

· 실내의 습도와 온도 등을 조절해 주어,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 목재를 짜 맞추는 방식이기 때문에 지진에 강하다. 


※ 한옥의 단점

·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기둥이 많아 실내가 좁고, 구조변경이나 확장 등이 어렵다. 

· 지붕이 무거워 시간이 지나면 변형이 생기며, 건물의 수명이 줄어들고, 흙의 수분이 그대로 목재에 스며들기 때문에  빨리 썩게된다.

· 스티로폼이나 유리섬유보다 단열성능이 떨어진다.

· 시공단가가 비싸다. 


최근에 한옥은 지붕에 흙을 올리지 않고 방수포, 방수지를 두르는 건식 시공법을 도입하고 있다고 합니다. 

기와 대신 무게가 훨씬 가벼운 동 기와를 쓰기 시작했는데, 특히 월정사나 상원사 같은 강원도 사찰에서 많이 쓰이고 있다고 합니다.

또한 동기와는 부식 및 산화에 매우 강해 수백 년이 지나도 손상이 적고, 구리는 탄력성 및 복원성이 매우 우수하여 비와 눈,추위, 더위 등에 의한 파손과 균열에 강하며, 일반 기와를 쓰면 날씨 때문에 기와가 깨져 매년 갈아야 하지만, 동기와를 쓰면 그런 번거로움이 줄어듭니다. 

요즘에는 더 저렴하게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강화 플라스틱제도 있다고 합니다. 



한국의 멋과 지혜가 담겨있는 한옥.

오랜 역사를 이어온 전통 한옥의 깊은 의미를 알고 보존하여, 한국의 전통과 기술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의 한옥은 지금 이 순간에도 꾸준히 시대에 맞춰 변화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오랜 전통의 한옥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한국에 오면 친구들과 함께 아름다운 한옥마을에 가서 사진도 찍고 추억을 만들어보세요.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